유전체의 구조적, 기능적 정보와 더불어 후성학적인 유전자 발현조절 시스템도 유전자의 전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 기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후성유전체는 생물체의 환경에 의해 변화 되며 유전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관련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핵심적인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전사인자 결합부위, modification 부위를 면역침강반응을 이용하여 분리하여 대규모로 보기 위한 Sequencing 기법
Methyl-CpG binding domain protein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capture된 DNA구간을 Sequencing하는 기법
메틸레이션된 Cytosine에 결합하는 Antibody로 면역침강 반응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capture된 구간을 sequencing하는 기법
Solution Hybridization 방식을 이용해 이미 잘 알려진 methylation 구간을 capture 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Cancer-tissue specific DMRs, GENCODE promoters, CpG islands을 포함
구분 |
Material |
Amount |
Conc(ng/ul) |
Platform |
Chip-Seq | ChIPed |
30ng |
1ng/ul |
NextSeq 500 / NovaSeq 6000 |
MeDIP-Seq |
||||
MBD-Seq |
gDNA |
20ng | 30ng/ul | |
Methyl-Seq(Agilent SureSelect) |
3ug | 60ng/ul |
Hiseq : within 4 weeks
Ion Proton : within 3 weeks
Methylseq |
ChIPseq |
Additional |
Data Report |
- SureSelect Human Targeted and Whole Genome Bisulfite Sequencing Analysis | - Peak Positions Identification Analysis | - DMR (Differential Methylation Region) Analysis | - Sequencing Summary - Methylation Summary - DMR Report |